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공부

(230711)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_틱톡2

<숏폼 콘텐츠 플랫폼> - 틱톡(TikTok)

틱톡 광고 구조

캠페인 : 캠페인 목적은 설정한 KPI 및 캠페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

광고그룹

광고(소재)

 

캠페인 세팅

트래픽 목표의 경우 웹/앱 최적화 위치 선택 가능, 나머지 모든 앱 캠페인은 앱 프로모션을 통해 진행

트래픽/앱 프로모션/웹사이트 전환 목표의 경우 게재위치로 틱톡과 함께 팽글 지면 설정 가능

A/B테스트 설정 가능

캠페인 예산 최적화 설정 가능

 

광고 그룹 세팅

AD Group Name 설정 및 운영 지면 선택

게재지면은 틱톡과 팽글 지면 활용 가능 (팽글: 동영상 오디언스 네트워크)

 

댓글 : 유저들이 댓글을 달 수 없도록 선택 가능

동영상 다운로드/공유 : 유저들이 광고 소재를 다운로드/공유 할 수 없도록 선택 가능

Pangle 차단 목록 : 네트워크 매체인 팽글 지면 필터링 기능

Audience : Asset > Audience에서 생성한 타겟 모수 활용 가능

 

지정 타겟팅과 자동 타겟팅 설정 가능

한국 지역 타겟팅, 한국어 타겟팅 두 개를 모두 활용하는 것보다 한국 지역 타겟팅만 하는 것이 노출에 효과적

광고 그룹에서 예산 모두 설정할 경우 캠페인 단위에서는 예산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 노출에 효과적

캠페인 초기 운영시 광고그룹은 비딩 단가(전환당 단가)20배로 운영

추후 광고그룹 안정화 시, 예산의 20~30%씩 증액하며 운영

Bid Control을 설정하는 대신 Lowest Cost로 설정하여 효율적인 캠페인 운영 권장

빠른 예산 소진이 목적일 경우 광고 게재 방법에서 빠른활용 (보통은 추천하지 않음)

 

픽셀 설정

각 웹사이트 당 한 개의 픽셀 ID를 설정하는 것을 권장

 

AD?

비디오 또는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TikTok Creative Tool을 통해 직접 광고용 영상을 편집

 

Data Dashboard

라이브 중인 캠페인, 성별, 개제위치 등 다양한 지표를 한 눈에 볼 수 있음

일별, 주별, 월별, 키워드 데이터 등 맞춤 리포트 다운로드가 가능

 

AEO : App Event Optimaization

단순앱 설치 캠페인이 아닌 앱 전환 캠페인으로 보다 딥한 퍼널로 캠페인 설계 및 운영 가능

구매를 목표로 하는 광고주에게 효과적

앱 프로모션-앱 리타겟팅 캠페인에서 활용 가능 하며, 광고 그룹에서 최적화 목표를 인앱 이벤트로 설정

지난 30일간 총 50건 이상의 인앱 이벤트 확보 필수

 

Max conversion (lowest cost)

별도의 비딩가 세팅 없이 시스템에서 경쟁 환경 및 historical data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비딩을 산정함

 

머신 러닝 단계

라이브 초반에 새로운 고객을 적극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적절한 오디언스를 찾아가는 과정

CPA 변도 폭이 높을 수 있으나 데이터가 축적 되면서 점차 안정화 됨

전환이 50개에 도달하면 학습이 완료되며 이후 Ad GroupCPA는 점차 안정됨

> 브랜드마다 다를 수 있음. 데이터 흐름을 파악하는게 더 중요

 

 

<타겟팅 상세>

Creative Tips

● 소재 길이는 10-15초를 권장하며, 4초 이내에 유저의 engagement가 결정됨

 최소 일주일에 1개의 신규 소재 추가

 TikTok Tool을 활용하여 TikTok 트랜드 반영

 Safe zone 안에 광고 문구를 넣는 것이 좋음

 캐치하고 트렌드한 배경 음악

 

Short form Video 세로형 활용 : 가로형 대비 세로형의 반응률이 약 9배 높음

인플루언서 활용 : 연예인보다는 인플루언서. 틱톡커들이 플랫폼에 대한 이해도를 활용하여 조회율, engagement를 최대한으로 높여줌

스토리텔링 있는 Native 광고 : Z세대들은 광고를 싫어하기 때문에 광고 느낌이 나지 않는 Native 광고를 추천

Co-create : 재미있고 따라하기 쉬운 콘텐츠에 반응이 좋음

 

수익 증대 전략

주요 순간에 더욱 성과를 보이는 Always-on 전략 (롱텀)

틱톡 캠페인 3개월 이상 집행 시 , 원하는 전환 목표 달성 가능성이 2배 이상 높음

 

런칭&유지 전략

참여 유저를 고객으로 전환 (숏텀)

 

제품 프로모션 : 니치 타겟

특정 고객에게 포커싱하고자 한다면, 다른 캠페인 목표 설정과 최적화를 적용한 인피드 광고를 함께 활용

 

신상품 론칭 – HTC, Branded Effect, R&F (Top-feed)

대표상품 리부스팅/리브랜딩 – HTC, Branded Effect, R&F (Top-feed)

시즈널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이커머스 프로모션 부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