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814) 첫 출근날 할 일_아등바등 퍼포마(0~3개월차)
처음 입사하면,,, 할 일이 없다:D
모든 회사가 그렇듯이 첫 출근한 신입에게 바로 업무를 주는 경우는 드문 것 같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퍼포먼스 마케팅은 기본적인 업무 형태가 거의 개인전이다. 우리회사뿐만 아니라 마케팅 교육을 같이 들었던 동기들의 말을 들어봐도 업무 형태가 다들 비슷비슷한 것 같다. 물론 회사 내 속한 팀이 있지만 팀끼리 업무를 거의 분담하지 않는다. (우리 팀의 경우 리포트 정도만 서포트한다) 개개인이 맡은 업무가 다 다르고.. 바쁘다ㅎㅎ
그러다보니 신입이 왔다고 해서 차근차근 봐줄 수 있는 여력이 없다. 그렇다고 이것저것 물어보자니 다들 바빠보여서 차마 입이 안 떨어진다. 이럴 땐 그냥 나를 필요로 할 때까지 가만히 있는게 답이다. 궁금한게 있으면 물어보라고 하셨지만 사실 그럴수가 없다. 질문도 뭘 알아야 하는건데 솔직히 신입은 아는게 없기 때문... 나는 그랬다;_;
물론 그렇다고 진짜 가만히 있는건 아니고 그 안에서도 내가 할 일을 찾아야 한다. 적어도 내가 어떤 일을 하게 될 것인지, 퍼포먼스 마케터가 기본적으로 접하게 될 용어들은 무엇인지 등 아주 기초적인 지식들을 이해하고 낯선 용어들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는게 좋다. 아래 내가 익혔던 내용들을 간단하게 적어보았다. (마케팅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신 과장님 감사합니다) 솔직히 지루할 수 있지만 이렇게 간단하게 기초지식을 익혀두면 업무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마케팅 구조]
매체 - 랩사 - 광고대행사 - 광고주
1. 매체(판매자)
- Naver, Google 등 광고 지면을 제공
- 랩사와 대행사에 수수료를 지급
2. 랩사(도매)
- 매체의 공식대행사
- 매체가 일일이 모든 소비자를 상대할 수 없으니 랩사를 두어 이를 관리하게 함
- ex) 네이버 공식대행사(https://saedu.naver.com/adguide/manage/adAgency.naver)
3. 광고대행사(소매)
- 광고주 대신 광고를 관리하고 집행
4. 광고주(소비자)
- 광고 기획안을 작성하여 매체, 제작, 운영 등 모든 일을 광고대행사에게 맡김
[마케팅 용어 및 수치 계산법]
- CPC (Cost Per Click) : 광고 클릭 당 비용
- CPM (Cost Per Mille) : 광고 노출 1000회 당 비용
- CTR (Click Through Raio) : 클릭률
- CVR (Conversion Rate) : 전환율
- ROAS (Return On Ad Spend) : 광고수익율 (광고대비수익)
- CPA (Cost Per Action) : 전환 당 비용
- CPC = 총 광고비용 / 클릭수 = Cost / Click
- CPM = (총 광고비용 / 노출수) x 1000 = (Cost / Impression) x 1000
- CTR = (클릭수 / 노출수) x 100 = (Click / Impression) x 100
- 클릭수 = (CTR / 100) x 노출수
- 노출수 = 클릭수 / (CTR / 100)
- CVR = (전환수 / 클릭수) x 100 = (Conversion / Click) x 100
- 전환수 = (CVR / 100) x 클릭수
- 클릭수 = 전환수 / (CVR / 100)
- ROAS = (총 광고수입 / 총 광고비용) x 100 = (Return / Spend) x 100
- CPA = 매출 / 전환수 = Return / Con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