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의 종류>
일반적으로 설문조사, 인터뷰, 포커스 그룹(FGI) 등을 통해 소비자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전문업체의 제품과 서비스를 분석하여 시장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또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장 규모와 성장 가능성을 예측해왔습니다.
1. 폐쇠형 질문(단답형 질문)
심층적 질문이 어려움
시간 단축 가능
2. 개방형 질문(주관식형 질문)
심층적인 질문 가능
3. 포커스 그룹(FGI) 기법
공통점이 있는 사람들에게 질문하는 것
l 1단계: 가장 먼저 해야 할 정리 사항
- 조사를 언제 누구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어떤 결과를 얻을지를 명확하게 설정
- 일자, 대상, 목적, 예상 결과 이미지, 3C분석(Competitor, Company, Customer)
l 2단계: 1단계 정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질문 내용 구성
- 인구통계학적 기준으로 성별, 연령, 학력, 소득, 거주지역, 거주유형 정리
- 응답자의 주목과 관심을 얻기 위한 인트로 질문
- 예상결과를 하기 위한 메인 질문
- 마무리 질문
<설문조사>
설문조사 질문 유형
오픈형 (괄호에 자기가 기입하는 방식)
선택형 (몇 가지 대안을 주고 그 중에서 고르게 하는 방식)
평가형 (태도나 의견의 강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5점 척도)
설문조사 작성시 유의사항
1) 쉬운 말을 쓸 것
2) 명확한 말을 쓸 것
ex) ‘자주’와 같이 기준을 특정하기 어려운 단어는 설문지 질문에 적합하지 않음
3) 응답자가 추측하지 않게 할 것: 일 년에 신용카드를 얼마만큼 사용하십니까? (잘못된 내용=얼마만큼)
4) 한 질문에서 두 가지 내용을 질문하지 말 것
5) 유도성 질문을 하지 말 것
6) 선입견을 주는 질문을 하지 말 것
7) 선택형 질문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한 응답을 제시할 것
8)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은 간접적으로 할 것
<정량조사 방법>
T-test
인스턴트 커피 하나를 두고, 남녀의 선호도 차이를 확인하거나, A/B 커피 사이의 맛과 선호도 차이 등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판단
Anova-test
20대/30대/40대 연령별 선호도 차이, 연령대별로 단맛/신맛 차이 등을 확인하는 조사방법.
T-test가 두 가지만 비교하는 조사방법이라면, Anova-test는 세가지 혹은 네가지 측정치의 평균을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
정량조사 5단계
1. 어떤 문제를 파악할 것인가? 혹은 어떤 주제를 조사할 것인지를 논의하는 문제 제기 단계
2. 조사의 목적을 명확히 한 다음,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고, 표본을 설계할지 정하는 조사 설계 단계
3. 실제로 응답자를 찾아 설문지를 받는 실사단계
4. 받아온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5. 마지막으로 조사 결과를 활용하는 전략 수립 단계
FGI 진행 단계
1. 누구를 대상으로 진행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 : 최적인원은 8명
(시장 조사 대상자를 아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
2.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미리 정리가 되어야 한다 : 정리된 내용을 보통 FGI 가이드라고 합니다 (보통 1시간 소요)
3. 조사진행 단계
- 소개 단계
- 분위기 조성 단계
- 본 주제 관련 질문
- 마무리 단계
4. 조사내용을 정리 : 2~3일
5. 사회자는 경험이 많은 사람
<신제품 출시와 제품 개선에 관한 조사 진행방법>
다음과 같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한다.
1. 신제품의 컨셉이 마음에 드는지 알고 싶다.
> 기존제품, 경쟁사제품을 비교해본다
2. 신제품의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지 알고 싶다.
3. 신제품의 맛/향/사용성이 마음에 드는지 알고 싶다.
> 비교대상이 없다면 5점척도 사용(3.5이상)
4. 적정한 가격이 얼마 정도가 되는지 알고 싶다.
> 구매의향 체크, 어떻게 구매할건지에 대한 평가 조사
5. 얼마나 많은 사람이 구매할 것인가를 알고 싶다
> 실제로 몇%의 사람들이 구매를 했는지 조사
<6/7특강> - 라이크낫(POOLA) 대표님
1.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도 당신의 말을 믿지 않는다
> 내 아이디어를, 어떻게든 데이터로 증명할 방법을 찾아라
ex) 서비스 있는 척 1만원으로 광고 돌리기, 타겟 고객들에게 구매의향서 받기, 카카오 채팅방 등 커뮤니티 운영하며 팬 확보하기
2. 데이터는 실행하고, 까보기 전까지 모른다
> 최소의 노력으로, 빠르게 실행해라
ex) ‘런칭하면 유저들이 좋아할거야’라는 감이 아닌,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빠르게 실행하라
3.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 의사결정의 단위를 쪼개, 실패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실패를 여러 번 경험하자
ex) 직접 실행해본 사람만이 얻는 진짜 ‘인사이트’가 있다. (꼭 ‘성공’경험이 아니어도 됨)
다른 사람은 모르는, 나만의 인사이트가 내 경쟁력이 된다.
[TIP]
KPI : 팀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핵심성과지표)
ROAS가 10이 나오면 초대박(!)
첫날에 마케팅비를 쏟아 부어야 한다
재방문율(retention)이 30%는 되어야 안정적임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
[X] 고민별 추천상품을 클릭해 상품을 확인한 고객은
[Y] ‘구매하기’ 클릭률이
[Z] 풀라 평균 ‘구매하기 클릭률’보다 20% 높을 것이다
성공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찾아가자 = 펀딩 성공한 대표님 미팅
l 목표 펀딩액의 N%는 마케팅비로 투자를 해야한다
l 펀딩 기간은 N일 이상으로 잡아야 한다
l 첫날에 랭킹 N위 안에는 들어가야 한다
l 첫날에 목표 펀딩액의 N%는 찍어야 한다
창업을 꿈꾼다면
1.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GA, 앰플리튜드 등)
2. 신뢰할 수 있는 좋은 팀원 구하기
3. 맷집 기르기(수많은 실패와 조금의 성공이 기다리고 있으니)
'마케팅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09)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 (0) | 2023.06.09 |
---|---|
(230608)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_마케팅리서치(시장조사) (0) | 2023.06.08 |
(230605)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 (0) | 2023.06.05 |
(230602)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 (0) | 2023.06.02 |
(230601) 퍼포먼스 마케팅 공부 (0) | 2023.06.01 |